태그 보관물: tip

Bare git으로 부터 source code 복사하기

Android에 기반한 project를 repo로 mirror로 만들때는 –mirror option을 주어서 bare git을 만든다(지난 posting 참조). 만약 이렇게 만들어진 bare repository로 부터 일반적인 형태의 source repository를 생성하려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posting에서는 git-daemon등을 설치 하지 않고 local에 있는 bare git으로 부터 source 구조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설명한다. Repo Init $ repo init help Usage: repo init […]

bash에서 자동완성할 때 공백 문자 들어가는 문제

언제부터 였는지는 모르겠지만, ubuntu (12.04)의 bash shell에서 자동완성을 하려고 <tab> key를 누르면 공백문자가 하나씩 추가되는 문제가 생겼다. 여러 단계로 되어 있는 file에 접근하려고 할 때 매번 <tab> key를 누르고 <backspace>로 공백문자를 지워줘야 하기 때문에 무척 불편했는데 좀 찾아보니 bash_completion file을 수정해서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었다. sudo vi /etc/bash_completion # makeinfo and texi2dvi are defined […]

Android NDK build architecture 변경하기

아무 설정 없이 ndk를 build 하면 다음과 같이 arm용 library가 만들어진다. $ <NDK_PATH>/ndk-build Gdbserver : [arm-linux-androideabi-4.6] libs/armeabi/gdbserver Gdbsetup : libs/armeabi/gdb.setup Compile thumb : hello-jni <= hello-jni.c SharedLibrary : libhello-jni.so Install : libhello-jni.so => libs/armeabi/libhello-jni.so $ file obj/local/armeabi/libhello-jni.so obj/local/armeabi/libhello-jni.so: ELF 32-bit LSB shared object, ARM,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not stripped NDK에서 build되는 binary의 architecture를 […]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64bit ubuntu에서 locate 등의 명령어로 찾아보면 library가 있으나 실제로는 수행할 때 찾을 수 없다는 오류를 내면서 죽는 경우가 있다. 아래는 android build 중에 수행되는 어떤 실행 파일이 libQtGui.so.4를 찾지 못해 종료한 빌드 로그이다. … ./bin/EXE_FILE: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QtGui.so.4: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 하지만 찾아보면 libQtGui.so.4는 […]

WARNING: terminal is not fully functional

mac에서 git관련 command나 man 명령어와 같이 more/less를 사용하는 실행을 할 때 다음과 같은 경고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WARNING: terminal is not fully functional – (press RETURN) max os x의 경우 $TERM값이 기본적으로 xterm-256color로 설정되는데, Xcode를 설치 할 때 terminal관련 정보가 삭제되서 이 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간단하게는 터미널 -> 환경설정 -> 고급에서 ‘터미널을 다음과 같이 선언’ 항목을 […]

[Tip] Hex string을 bash에서 보기

Unix command인 echo를 -e option과 함께쓰면 ‘\x’로 escape된 hex값을 문자로 보여 준다. $ echo -e “\x5B\xEB\xAC\xBC\xEB\x86\x80\xEC\x9D\xB4\x20\xEA\xB7\xB8\xEB\xA6\xBC\xED\x8C\x90\x5D” [물놀이 그림판] Web browser등에서는 ‘\x’가 아닌 ‘%’를 escape character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런경우는 bash의 string 치환을 사용해서 ‘\x’로 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 str=’\x5B\xEB\xAC\xBC\xEB\x86\x80\xEC\x9D\xB4\x20\xEA\xB7\xB8\xEB\xA6\xBC\xED\x8C\x90\x5D’ $ echo -e ${str//%/\\x} [물놀이 그림판] * Bash에서 string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는 KLDP의 이 문서를 참고. […]

[Tip] Cygwin에서 화면 지우기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Cygwin package에는 clear command가 없다. clear.exe를 설치 하려면 ncurses package를 설치 해야 한다. 하지만, bash를 사용한다면 더 간단한 방법으로 화면을 지울 수 있다. Ctrl + l 아마도 비슷한 글: [Tip] Hex string을 bash에서 보기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bash에서 자동완성할 때 공백 문자 들어가는 문제 [Tip] PyDev […]